국민행복카드 발급 조건, 놓치면 손해!
아이를 키우다 보면 정말 돈이 많이 들죠? 기저귀값, 분유값, 병원비까지 더하면 한 달에도 수십만원이 훌쩍 넘어갑니다. 그런데 정부 지원을 제대로 못 받아서 손해보는 분들이 의외로 많더라고요 😭
국민행복카드는 정부에서 임신·출산·육아 가정을 위해 지원하는 바우처를 한 장의 카드로 통합해서 사용할 수 있는 복지카드입니다. 최대 100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는데, 막상 신청하려고 하면 발급 조건이 복잡해 보여서 포기하는 경우가 많아요.
오늘은 국민행복카드 발급 조건을 정확하게 정리해드릴게요. 이 글만 읽으면 내가 받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어떻게 신청해야 하는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국민행복카드란 무엇인가요?
국민행복카드는 한마디로 '22가지 정부 지원 바우처를 하나로 모은 카드'입니다. 임신·출산 진료비, 첫만남 이용권, 기저귀·조제분유 지원, 아이돌봄 서비스 등 다양한 복지 혜택을 한 장의 카드로 이용할 수 있어요.
중요한 건 카드 발급과 바우처 신청은 별개라는 점입니다. 카드만 만든다고 자동으로 지원금이 들어오는 게 아니라, 카드를 먼저 발급받은 후 각 바우처를 개별적으로 신청해야 합니다.
누가 국민행복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나요?
여기가 가장 중요한 부분이죠. 많은 분들이 소득 조건이 까다로울 것 같아서 미리 포기하는데, 사실 카드 발급 자체는 누구나 가능합니다.
카드 발급 기본 조건
- 신용카드: 만 19세 이상, 본인 선택 가능
- 체크카드: 만 14~19세 미만은 체크카드만 발급 가능
- 발급 기관: BC카드, 롯데카드, 삼성카드, 신한카드, KB국민카드 중 선택
보시다시피 국민행복카드 자체는 소득 제한 없이 누구나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각 바우처별로 지원 대상과 소득 기준이 다르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주요 바우처별 발급 조건
실제로 정부 지원금을 받으려면 바우처별 자격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대표적인 바우처들의 조건을 살펴볼까요?
| 바우처 종류 | 지원 대상 | 소득 기준 | 지원 금액 |
|---|---|---|---|
| 임신·출산 진료비 | 건강보험 가입자 또는 피부양자 | 제한 없음 | 임신 1회당 100만원 (다태아 100만원) |
| 기저귀 바우처 | 2세 미만 영아가 있는 가정 | 기준 중위소득 80% 이하 | 월 7만원 (24개월간) |
| 조제분유 바우처 | 산모가 질병·사망 등으로 모유 수유 불가능한 경우 | 기준 중위소득 80% 이하 | 월 9만원 추가 (기저귀 포함 총 16만원) |
| 첫만남 이용권 | 2024년 1월 1일 이후 출생아 | 제한 없음 | 200만원 (1년간 사용) |
2025년 기준 중위소득 80% 금액
기저귀·조제분유 바우처를 받으려면 기준 중위소득 80% 이하여야 하는데, 구체적인 금액이 궁금하시죠?
- 1인 가구: 약 171만원
- 2인 가구: 약 284만원
- 3인 가구: 약 364만원
- 4인 가구: 약 441만원
건강보험료 납부액으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직장가입자 기준으로 4인 가구는 월 건강보험료가 약 15만원 이하면 해당됩니다.
바우처별로 다른 조건, 헷갈리지 않으려면?
이쯤에서 궁금해지시죠? "그럼 나는 어떤 바우처를 받을 수 있는 거지?" 실제 사례로 비교해보면 훨씬 이해하기 쉽습니다.
사례 1: 임신 중인 직장인 A씨
A씨는 4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120%에 해당하는 맞벌이 부부입니다. 소득이 높은 편이지만 임신·출산 진료비와 첫만남 이용권은 소득 제한이 없어서 모두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기저귀 바우처는 중위소득 80% 이하만 해당되므로 받을 수 없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