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임대주택 신청, 소득기준부터 당첨까지 완벽 가이드
집을 구하려고 이곳저곳 알아보다가 전세금이 너무 높아서 한숨만 나오시나요? 😞 월세는 월세대로 부담스럽고, 그렇다고 내 집 마련은 언제 할 수 있을지 막막하기만 한데요. 저소득층과 서민을 위한 희소식이 있습니다. 바로 시세의 60~80% 수준으로 30년 동안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국민임대주택 신청 제도입니다. 자격만 된다면 저렴한 임대료로 오랫동안 주거 걱정 없이 살 수 있어요.
하지만 신청 자격은 어떻게 되는지, 어디서 어떻게 신청하는건지 막상 찾아보면 정보가 너무 많아 헷갈리시죠? 오늘은 2025년 기준으로 국민임대주택 신청 자격부터 절차까지 모든 것을 명확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국민임대주택이란 무엇인가요?
국민임대주택은 무주택 저소득층의 주거 안정을 위해 국가재정과 국민주택기금을 지원받아 건설·공급하는 공공임대주택입니다. 전용면적 60㎡ 이하의 주택을 시중 시세 60~80% 수준으로 임대하며, 2년 단위로 계약을 갱신하여 최대 30년까지 거주할 수 있습니다.
일반 전세나 월세에 비해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인데요. 다만 소득과 자산 기준을 충족해야 하고, 무주택세대구성원이어야 신청이 가능합니다.
2025년 국민임대주택 신청자격
무주택세대구성원 조건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것은 무주택 요건입니다. 신청자 본인뿐만 아니라 배우자, 직계존속(부모, 배우자 부모), 직계비속(자녀, 자녀 배우자) 등 세대 구성원 전원이 무주택자여야 합니다. 주민등록표에 함께 등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분리된 배우자까지 무주택이어야 한다는 점 꼭 기억하세요.
소득기준 (2025년 기준)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70% 이하여야 합니다. 다만 1인 가구는 90%, 2인 가구는 80% 이하가 기준입니다.
| 가구원수 | 월평균 소득기준 70% (1인 가구 90%, 2인 가구 80%) |
|---|---|
| 1인 | 3,238,348원 이하 |
| 2인 | 4,381,602원 이하 |
| 3인 | 5,338,881원 이하 |
| 4인 | 6,004,662원 이하 |
| 5인 | 6,321,734원 이하 |
| 6인 | 6,813,160원 이하 |
| 7인 | 7,304,587원 이하 |
자산기준 (2025년 기준)
소득뿐만 아니라 자산 기준도 충족해야 하는데요. 세대구성원 전원이 보유한 총자산이 3억 3,700만원 이하여야 하며, 자동차 가액은 4,563만원 이하여야 합니다. 총자산에는 부동산, 자동차, 금융자산, 기타자산을 모두 합산한 후 부채를 차감한 금액이 포함됩니다.
장애인 사용 자동차나 국가유공자의 보철용 차량은 자산 산정에서 제외되니 해당되시는 분들은 참고하세요.
우선공급 대상자는 누구인가요?
일반 신청자보다 우선적으로 입주 기회를 받을 수 있는 대상이 있습니다. 신혼부부, 국가유공자, 장애인, 65세 이상 고령자, 북한이탈주민, 중소기업 근로자, 한부모가족 등이 우선공급 대상에 해당하는데요.
특히 신혼부부의 경우 혼인 기간 7년 이내이거나 만 6세 이하 자녀가 있으면 우선공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비 신혼부부도 입주 전까지 혼인 사실을 증명하면 신청 가능하니 결혼을 준비 중이신 분들도 주목하세요! 😊
우선공급 대상자끼리 경쟁이 있을 경우에는 가구 소득, 미성년 자녀 수, 거주 기간, 청약 납입 횟수 등을 점수화하여 높은 순으로 선정합니다.
국민임대주택 신청방법과 절차
모집공고 확인하기
먼저 LH청약플러스나 마이홈포털을 통해 입주자 모집공고를 확인해야 합니다. 지역별로 모집 시기가 다르므로 자신이 원하는 지역의 공고를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신청 방법
신청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 인터넷 접수: LH청약플러스 홈페이지에서 로그인 후 청약 신청
- 현장 접수: 사업주체가 지정한 장소에서 신청서 작성 및 서류 제출
인터넷 접수의 경우 서류 제출 대상자로 선정되면 별도로 서류를 제출해야 하며, 소득과 자산 조사가 진행됩니다. 현장 접수는 신청 시 바로 서류를 제출하는 방식입니다.
당첨자 발표 및 계약
소득·자산 심사가 완료되면 사업주체 홈페이지나 ARS를 통해 당첨자가 발표됩니다. 당첨이 되면 지정된 장소에서 임대차 계약을 체결하고, 잔금을 납부한 후 입주하면 됩니다.
모집 호수의 일정 비율은 예비입주자로 선정되는데요. 입주 예정자가 계약을 하지 않거나 해약할 경우 예비입주자 순위에 따라 계약 기회가 주어지니 예비로 선정되어도 실망하지 마세요! 😉
지금 바로 신청 가능한 국민임대주택 찾기
국민임대주택은 내 집 마련의 꿈을 향해 나아가는 동안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제공하는 훌륭한 대안입니다. 소득과 자산 기준만 충족된다면 시세보다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최대 30년까지 거주할 수 있으니, 지금 바로 자격 요건을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현재 모집 중인 국민임대주택 공고를 확인하고, 나에게 맞는 주택을 찾아 신청하세요. 주거 안정이 곧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