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 전기요금 감면신청 놓치면 후회! 최대 57만원 아끼는 법

아기가 태어나고 나니 전기요금이 생각보다 많이 나오더라고요. 난방, 공기청정기, 가습기, 세탁기... 24시간 돌아가는 게 한두 가지가 아니잖아요? 😭 그런데 이런 고민, 나만 하는 게 아니더라고요.

신생아가 있는 가정이라면 전기요금 감면 혜택을 꼭 신청해야 합니다. 출생일부터 만 3세까지 매월 최대 16,000원씩, 3년간 총 576,000원을 아낄 수 있는 기회인데 신청 안 하면 그냥 날리는 거예요.

그런데 이 혜택, 알고는 있는데 어떻게 신청하는지 몰라서 못 받는 분들이 의외로 많더라고요. 오늘은 신생아 전기요금 감면신청 방법부터 주의사항까지 하나씩 정리해 드릴게요.

메인 키워드인 "신생아 전기요금 감면신청 신생아"이(가) 적힌 게시글 대표 이미지

누가 받을 수 있나요?

일단 신청 자격부터 확인해 봐야겠죠? 복잡할 것 같지만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 주민등록상 출생일로부터 만 3세 미만의 자녀가 1명 이상 있는 가구
  • 주택용 전기를 사용하는 가정 (아파트, 빌라, 단독주택 모두 가능)
  • 출산뿐만 아니라 입양한 경우도 해당

여기서 중요한 건 "주민등록상" 같은 주소에 등재되어 있어야 한다는 점이에요. 아기와 부모가 같은 주소지에 등록되어 있어야 신청이 가능합니다.


얼마나 할인받을 수 있나요?

할인 금액이 시원시원하게 많았으면 좋겠는데, 그래도 꽤 쏠쏠합니다.

구분 할인 내용
할인율 매월 전기요금의 30%
할인 한도 월 최대 16,000원
적용 기간 출생일이 속한 달부터 만 3세가 되는 달까지 (총 36개월)
총 절약 금액 최대 576,000원

예를 들어 월 전기요금이 50,000원이라면 30%인 15,000원을 할인받게 되는 거죠. 만약 전기요금이 60,000원 이상 나온다면 30%가 18,000원이 넘어도 한도인 16,000원까지만 할인됩니다.

3년이면 긴 시간인데, 이 기간 동안 꾸준히 혜택을 받으면 기저귀값 몇 달 치는 충분히 아낄 수 있어요. 😉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

신청 방법이 여러 가지라서 본인한테 편한 걸로 선택하면 됩니다.

온라인 신청

  1. 정부24 홈페이지
    • 정부24(www.gov.kr) 접속
    • '요금감면일괄신청' 검색
    • 본인인증 후 출산가구 할인 선택하여 신청
  2. 한전ON 앱
    • 앱스토어/구글플레이에서 '한전ON' 다운로드
    • 로그인 후 '복지할인 신청' 메뉴 선택
    • 출산가구 할인 신청서 작성

오프라인 신청

  •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 출생신고할 때 함께 신청 가능 (이게 제일 편해요!)
  • 한전 지사 방문: 가까운 한전 지사에 방문하여 신청
  • 전화 신청: 한전 고객센터 123번으로 전화하여 신청

개인적으로는 아기 출생신고하러 주민센터 갈 때 같이 신청하는 게 가장 효율적이에요. 어차피 가야 하는 곳이니까요.


꼭 알아야 할 주의사항

신청할 때 실수하기 쉬운 부분들이 몇 가지 있어요.

신청 시기가 중요합니다

신청일이 속한 달부터 할인이 적용됩니다. 다음 달부터가 아니에요! 그래서 출생일이 속한 달에 바로 신청하는 게 한 푼도 안 아까워요. 예를 들어 3월 15일에 아기가 태어났는데 4월 5일에 신청하면 3월분은 할인을 못 받는 거예요.

이사 갈 때 재신청 필요

이사를 가면 전기 계약자 명의를 변경하잖아요? 그때 할인도 자동으로 끊깁니다. 이사 후 새 주소지에서 반드시 다시 신청해야 해요. 이거 깜빡하고 몇 달 지나서 알게 되면 정말 속상하더라고요.

중복 할인 불가능

  • 다자녀 가구 할인과 중복 적용 안 됨 (둘 중 하나만 선택)
  • 대가족 할인과도 중복 불가
  • 단, 장애인 복지할인 등 다른 유형의 할인과는 중복 가능한 경우도 있으니 한전에 문의하세요

필요한 서류

온라인으로 신청하면 대부분 자동으로 조회되지만, 오프라인 신청 시에는 이런 것들이 필요할 수 있어요.

  • 신분증
  • 주민등록등본 (아기와 같은 주소 확인용)
  • 전기 고객번호 (전기요금 고지서에 있어요)

실제로 얼마나 아낄 수 있을까요?

말로만 하면 실감이 안 나니까 실제 사례를 들어볼게요.

A씨 가족은 아파트에 살면서 월평균 전기요금으로 55,000원 정도 냅니다. 신생아 전기요금 감면을 신청하고 나서는 어떻게 됐을까요?

  • 원래 전기요금: 55,000원
  • 30% 할인: 16,500원 → 한도 적용으로 16,000원 할인
  • 실제 납부액: 39,000원
  • 월 절약액: 16,000원
  • 3년 총 절약액: 576,000원

전기요금이 적게 나오는 집도 있겠죠? B씨네는 월 30,000원 정도 나옵니다.

  • 원래 전기요금: 30,000원
  • 30% 할인: 9,000원
  • 실제 납부액: 21,000원
  • 월 절약액: 9,000원
  • 3년 총 절약액: 324,000원

전기요금이 많이 나오든 적게 나오든 30만원 이상은 무조건 아낄 수 있다는 거죠. 이 돈이면 아기 용품 살 때 한결 마음 편하게 장바구니에 담을 수 있어요.


신생아 전기요금 감면, 신청 안 하면 그냥 손해예요. 복잡하지도 않고 5분이면 끝나는 일인데 3년 동안 몇십만원을 아낄 수 있다니까요.

출생신고하러 가실 때 꼭 함께 신청하세요. 아니면 지금 당장 한전ON 앱 깔아서 신청하시든지요. 나중에 하려다가 까먹으면 정말 아깝잖아요? 😉

육아는 돈 들어갈 곳이 한두 군데가 아니에요. 받을 수 있는 혜택은 하나도 빠짐없이 챙겨서 우리 아기한테 더 좋은 것 해줍시다!


자주 묻는 질문

쌍둥이인 경우 할인이 2배로 적용되나요?
아니요, 쌍둥이라고 해도 할인 금액은 동일하게 월 최대 16,000원입니다. 하지만 만 3세 미만 자녀가 2명 이상이면 다자녀 가구 할인(30%, 월 최대 16,000원)을 선택할 수도 있어요. 둘 다 조건과 금액이 같으니 출산가구 할인으로 신청하시면 됩니다.
아빠 명의로 된 전기요금도 할인받을 수 있나요?
네, 가능합니다. 전기 계약자가 엄마든 아빠든 상관없어요. 중요한 건 주민등록상 아기와 같은 주소에 거주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전기 계약자와 아기가 같은 주소에 등록되어 있으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아기가 태어난 지 6개월이 지났는데 지금 신청해도 소급 적용되나요?
안타깝게도 소급 적용은 안 됩니다. 신청일이 속한 달부터 할인이 시작되기 때문에 늦게 신청하면 그 전 기간의 할인은 받을 수 없어요. 하지만 지금이라도 신청하면 앞으로 남은 기간 동안 계속 할인받을 수 있으니 빨리 신청하시는 게 좋습니다.
할인이 제대로 적용되고 있는지 어떻게 확인하나요?
전기요금 고지서를 보면 할인 내역이 표시됩니다. 한전ON 앱에서도 요금 조회 시 복지할인 적용 내역을 확인할 수 있어요. 신청 후 다음 달 고지서부터 할인이 적용되는데, 만약 2개월이 지나도 할인이 안 보이면 한전 고객센터(123)로 문의하세요.

같이 보면 좋은 글